경남
창원시
[창원시] 창원시, “2020년 이어 2021년 초미세먼지 크게 개선”
21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14.6㎍/㎥, 환경기준(15㎍/㎥) 달성
전국평균보다 3㎍/㎥ 낮고 초미세먼지 관측이래 최저농도 기록
기사입력: 2022/01/06 [15:05]  최종편집: ⓒ 보도뉴스
김정화
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
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

 

창원시(시장 허성무)는 2021년 초미세먼지 농도가 14.6㎍/㎥으로 2020년 16.1㎍/㎥에이어 관측 이래 최저농도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.

 

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 측정자료에 의하면, 지난 3년간 창원시 초미세먼지( PM-2.5)는 2019년 18.8㎍/㎥, 2020년 16.1㎍/㎥, 2021년 14.6㎍/㎥으로 꾸준하게개선추이를 보이고 있으며, 미세먼지(PM-10) 또한 2019년 38.5㎍/㎥, 2020년 28.6㎍/㎥, 2021년 28.1㎍/㎥으로 크게 개선됐다.

 

이는 전국평균 및 주요 대도시, 다른 특례시에 비해 3~15㎍/㎥ 낮은 농도로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는 환경기준(PM-10 50㎍/㎥, PM-2.5 15㎍/㎥)보다 낮은 수치이다.

 

시는 미세먼지 개선의 원인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국외 미세먼지 유입 감소와 국내 기상조건 및 그간 적극적으로 추진한 ‘창원형 미세먼지 저감시책’의 효과로 판단하고 있다.

 

2018년 미세먼지 저감 6+4 시책에 이어 2020년부터 추진 중인 창원형 미세먼지 종합대책은 미세먼지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여 수송, 생활 등 5개 분야에 걸쳐26개 중점과제가 시행되고 있다.

 

특히, 산업부문 미세먼지 및 악취배출원 관리강화를 위해 2019년 10월 대기오염물질측정검사TF를 신설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현장에서 오염물질 농도를 직접 측정·검사하고 드론, 이동측정차량, IoT감지기 등 첨단장비를 활용하여 불법배출을 감시하는 등 대기질 개선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.

 

또한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통해 2021년 한해동안 3,907대의 노후경유차를 조기폐차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5년간 5,923대에 비해 300%이상의 조기폐차 실적을 통해 수송부문에서의 미세먼지 저감에 큰 성과를 이뤘다.

 

김동주 환경정책과장은 “맑은 공기질 확보는 시민건강권 보호와 미래세대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분야별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, 기후위기 대응과탄소중립 실천으로 창원특례시에 걸맞는 대기질 조성에 적극 노력하겠다”고 밝혔다.

 

ⓒ 보도뉴스.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

‘편스토랑’ 이정현 시부모님
주간베스트 TOP10